입원형 호스피스·완화의료
보건복지부 지정 호스피스전문기관 병동에 입원한 말기암 환자와 가족들에게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러한 서비스로 환자와 가족들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고통을 완화하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입원형 호스피스·완화의료 대상자
- 말기암 진단을 받고 호스피스 완화의료 이용을 희망하는 환자
- 완치를 위한 적극적 치료에 더 이상 의학적인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기대여명 6개월 이내로 예견된 말기암환자
- 임종이 임박하지 않고 의식이 분명하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환자
- 의사의 동의가 있거나 의뢰된 환자
입원형 호스피스 제공서비스
- 통증 및 기타 신체적 증상 완화
- 각종 완화요법 프로그램(원예요법, 음악요법, 아로마요법, 마사지요법, 종이접기 요법 등 )
- 사회복지사의 심리, 사회적 상담 및 경제적 지원 방안 모색
- 성직자의 영적 상담 및 종교적 돌봄
- 환자와 가족 교육(환자를 돌보는 방법, 증상 조절 등)
- 이벤트 프로그램(기념일 이벤트, 음식 나누기, 노래자랑, 가족 나들이, 생일잔치 등)
- 환자가 희망하는 치료에 대한 사전 계획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돌봄 봉사
- 임종돌봄 및 사별가족 돌봄 서비스
- 호스피스 보조활동인력 돌봄 서비스
입원형 호스피스·완화의료병동 안내
병실현황
병실현황표
구분 |
1인실 |
2인실 |
3인실 |
4인실 |
5인실 |
임종실 |
병실현황 |
2 |
1 |
- |
3 |
- |
1 |
시설현황
모바일로 확인하실 경우 좌우로 움직여 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사진
입원절차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일반병동과 외래, 응급실에서 진료를 받는 말기환자와 가족에게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팀이 담당 의사와 함께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러한 서비스로 환자와 가족들의 신체적, 심리·사회적, 영적 고통을 완화하여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팀
- 일반병동(또는 급성기 병동), 외래, 응급실에서 담당 의료진에 의해 질환치료를 받고 있는 말기환자와 가족에게 전인적인 완화적 돌봄을 자문의 형태로 제공
- 호스피스·완화의료의 전문교육을 받은 의사, 전담간호사, 사회복지사를 중심으로 영적돌봄제공자, 자원봉사자 등의 다학제 팀으로 구성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대상자
말기 진단을 받은 말기환자 중 일반병동이나 외래, 응급실에서 자문형 호스피스 서비스 이용을 희망하는 환자와 그 가족
※말기 암 환자/말기 만성 간경화증/ 만성 폐쇄성 호흡기질환
필요시 입원형, 가정형 호스피스와 연계할 수 있습니다.
자문형 호스피스 제공서비스
- 통증 및 기타 신체적 증상 완화
- 각종 완화요법 프로그램(원예요법, 아로마요법, 마사지요법 등 )
- 사회복지사의 심리, 사회적 상담 및 경제적 지원 방안 모색
- 성직자의 영적 상담 및 종교적 돌봄
- 환자와 가족 교육(환자를 돌보는 방법, 증상 조절 등)
- 이벤트 프로그램(기념일 이벤트, 음식 나누기, 소원들어주기 등)
- 환자가 희망하는 치료에 대한 사전 계획
-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돌봄 봉사
- 임종돌봄 및 사별가족 돌봄 서비스
자문형 호스피스·완화의료 기대효과
- 일반병동이나 외래에서 담당 의료진 변경 없이 지내기 원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대상자의 선택권 보장
- 일반병동이나 외래에서의 호스피스·완화의료 대상자의 완화의료 서비스 이용 기회 확대 및 삶의 질 향상
- 일반병동에서 임종을 하는 호스피스·완화의료 대상자의 임종의 질 향상
- 기대 여명 예측의 불확실성 등으로 입원형 호스피스의 이용에 어려움이 있는 비암성 말기환자의 생애 말기 삶의 질 향상
서비스 제공절차
-
말기진단
말기 질환 담당의사
말기 진단
말기통보 및 호스피스 이용 의향 확인
-
호스피스 의뢰
말기 질환 담당의사
호스피스 의뢰
-
호스피스 상담
호스피스팀
호스피스 상담
해당 담당 전문의 말기 진단
-
이용동의서 작성
호스피스팀
호스피스 이용 동의서 작성
이용동의서 작성 후
모바일로 확인하실 경우 좌우로 움직여 내용을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