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이 많이 나는 부위로는 손바닥이 가장 흔하며, 그 외 발바닥이나 얼굴 혹은 몸 전체인
경우도 있습니다. 이중 손바닥에 땀이 많이 나는 경우가 가장 문제가 되어, 글씨를 쓸때
종이가 젖는다는가, 유리그릇을 못잡거나, 컴퓨터나 전기작업을 못하거나, 악수를 하기가
곤란하다는 등의 문제들로 인하여,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하거나 특정직업을 가지기가
불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또 이보다는 드물지만 불안, 초조하거나 흥분되는 경우 얼굴과
머리에서 심하게 땀이나는 안면다한증의 경우도 대인 관계에서 곤란을 겪는 경우가 있습
니다. 겨드랑이에 땀이 많이 나는 경우도 여름철 티셔츠가 다 젖어서 남 보기 흉하여 늘
헐렁한 옷만 입어야 하는 분들도 있습니다.
치료
이러한 다한증에 대해 민간요법이나 피부과적 전기이온치료, 주사요법, 한방요법 등이
시행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대개 일시적입니다. 수부나 안면다한증,
액와부다한증의 치료로 가장 확실한 방법은 원인이되는 흉부교감신경을 절제해주는 방법
입니다. 그러나 이 신경은 흉강내 깊숙히 자리잡고 있어서 절제를 하려면 큰 흉부절개가
필수적이어서, 다한증을 해결하기위한 수술로는 너무 큰 수술이라는 점에서 널리 사용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흉강내시경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 큰 절개없이
교감신경을 절제할 수가 있어서 적극적으로 수술이 시행되게 되었습니다.
다한증은 대개 여러모로 활동이 왕성한 청장년기에 발현되므로, 이때 수술을 받는 것
이 좋습니다.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 교감신경절제술은 전신마취하에 바로 누운 자세에서
양측 교감신경을 땀이 나는 부위에 따라 제2번 흉추 위치에서 제4번 흉추위치 사이의
필요한 부위를 절단합니다. 젖가슴 옆에 2mm 크기의 피부절개를 통하여 흉강내에 이산화
탄소를 주입하여 폐를 허탈시킨 후 미세 흉강내시경을 넣어 흉강내부를 보면서, 겨드랑이
에 2mm짜리 절개를 한군데 더 하여 이곳으로 수술기구를 삽입하여 교감신경을 절단합니다.
따라서 수술흉터가 거의 표시가 나지 않으며, 이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는 다한증
수술 중 최소 절개법입니다. 환자는 수술 직후부터 땀이 나지 않게 되며, 수술 후 몇 시간
회복 후 귀가함으로서 입원이 필요없는 소위 당일 수술이 가능합니다. 발바닥에 땀이
많이 나는 경우는 허리 부분의 신경을 절단해야 하며, 이는 흉부 수술보다 수술 규모가
크며, 수술 후 합병증, 후유증 등이 발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큽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적극적으로 수술하지 않는 추세이며, 흉부교감신경절단술 후 발이 좋아지는 사람들이
많아서 우선 흉부수술부터 받는 것이 좋습니다.
예후
이러한 다한증에 대해 민간요법이나 피부과적 전기이온치료, 주사요법, 한방요법 등이
시행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거나 대개 일시적입니다. 수부나 안면다한증,
액와부다한증의 치료로 가장 확실한 방법은 원인이되는 흉부교감신경을 절제해주는 방법
입니다. 그러나 이 신경은 흉강내 깊숙히 자리잡고 있어서 절제를 하려면 큰 흉부절개가
필수적이어서, 다한증을 해결하기위한 수술로는 너무 큰 수술이라는 점에서 널리 사용
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 흉강내시경이 널리 사용됨에 따라 큰 절개없이
교감신경을 절제할 수가 있어서 적극적으로 수술이 시행되게 되었습니다.
다한증은 대개 여러모로 활동이 왕성한 청장년기에 발현되므로, 이때 수술을 받는 것
이 좋습니다.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 교감신경절제술은 전신마취하에 바로 누운 자세에서
양측 교감신경을 땀이 나는 부위에 따라 제2번 흉추 위치에서 제4번 흉추위치 사이의
필요한 부위를 절단합니다. 젖가슴 옆에 2mm 크기의 피부절개를 통하여 흉강내에 이산화
탄소를 주입하여 폐를 허탈시킨 후 미세 흉강내시경을 넣어 흉강내부를 보면서, 겨드랑이
에 2mm짜리 절개를 한군데 더 하여 이곳으로 수술기구를 삽입하여 교감신경을 절단합니다.
따라서 수술흉터가 거의 표시가 나지 않으며, 이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시행되는 다한증
수술 중 최소 절개법입니다. 환자는 수술 직후부터 땀이 나지 않게 되며, 수술 후 몇 시간
회복 후 귀가함으로서 입원이 필요없는 소위 당일 수술이 가능합니다. 발바닥에 땀이
많이 나는 경우는 허리 부분의 신경을 절단해야 하며, 이는 흉부 수술보다 수술 규모가
크며, 수술 후 합병증, 후유증 등이 발생할 확률이 상대적으로 큽니다. 따라서 최근에는
적극적으로 수술하지 않는 추세이며, 흉부교감신경절단술 후 발이 좋아지는 사람들이
많아서 우선 흉부수술부터 받는 것이 좋습니다.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두류공원로 17길 33 (우 42472)
예약 및 대표전화 : 1688-0077팩스 : 053-650-4122
종합건강검진 예약전화 : 053-650-4114, 4123일반건강검진 예약전화 : 053-650-4590~1
COPYRIGHT (C) DAEGU CATHOLIC UNIV.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주소 : 대구광역시 남구 두류공원로 17길 33 (우 42472)
예약 및 대표전화 : 1688-0077팩스 : 053-623-7507
종합건강검진 예약전화 : 053-650-4114, 4123일반건강검진 예약전화 : 053-650-4590~1
COPYRIGHT (C) DAEGU CATHOLIC UNIV.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