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은 환우와 가족분들께 도움이 되도록
많은 정보를 제공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질환명 | 노인성 요실금 |
---|---|
진료과 | 비뇨의학과 |
자가진단 신체부위 | 생식기관 |
원 인 | 방광의 노화현상, 방광근 비후 및 섬유화, 요도괄약근의 약화, 뇌신경 질환(치매, 뇌졸증, 파키슨씨병 등)-방광이 안정적 팽장에 대한 조절 능력의 소실, 하부요로질환(남성 : 전립선 비대증으로 소변이 배출되는 통로가 막힘, 여성 : 요도주변의 골반근육이 자녀를 분만 하면서 약해지기 때문에), 유병 질환 및 약물(당뇨병, 고혈압 치료제인 이뇨제나 칼슘 차단제, 기타 정신과 약물) |
특 징 | - 절박성 요실금 : 소변이 마려운 느낌이 있자 마자 참지 못하고 소변이 나오는 요실금 - 일류성 요실금 : 소변을 거의 못 보게 된 후, 소변이 방광을 흘러 넘쳐서 나오는 요실금 - 복압성요실금 : 여성에서 기침, 뛸 때 등 복압이 증가할 때마다 소변이 새는 요실금 주의할 것은 여러가지 요실금이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가 흔하기 때문에 잘못 치료하면 더욱 상태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만족스러운 치료를 위하여 요실금 및 배뇨장애 전문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
진 단 | - 배뇨일지 : 소변을 볼 때마다 시간과 소변양을 적고 요실금 발생여부를 환자 스스로 기록하는 기초 검사 - 요역동학 검사 : 소변이 방광에 차고 또 배출되는 상태를 검사하여 방광과 요도의 상태 를 파악하는 매우 중요한 검사 - 방광경검사 : 방광과 요도의 해부학적 변화는 물론 전립선비대증의 정도, 방광암, 결석, 요도협착 등 배뇨상태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을 감별하는 검사 - 방사선촬영, 초음파촬영 : 기타 비뇨기계 질환 감별 |
치 료 | - 과활동성 방광 : 약물을 사용하여 좋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보조요법으로 전기자극, 패드나 특수 의류착용을 권장합니다. - 복압성 요실금 : 전기자극 및 바이오피드백 치료나 약물요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효과가 없을 때는 수술을 시행하며 90%의 성공률을 보입니다. 최근에는 복강경 수술이나 국소마취 하에 시행하는 간편한 수술법도 개발되어 있습니다. 환자 분이 아주 고령이거나 수술을 원치 않을 때는 콜라겐이라는 물질을 요도에 주사합니다. - 전립선비대증을 비롯한 방광출구폐색 : 약물요법에 비교적 잘 듣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나 약물에 잘 듣지 않는 경우는 전립선절제술을 시행합니다. 최근에는 레이저를 이용 한 시술이 개발되어 있습니다. - 저활동성 방광 : 도뇨관을 유치하거나 간헐적 도뇨를 시행합니다. 필요한 경우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도뇨관을 방광에 유치합니다. |
예 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