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질병에 관련된 정보들을 보실 수 있는 질환정보사전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은 환우와 가족분들께 도움이 되도록
많은 정보를 제공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질환명 | 잠복고환 |
---|---|
진료과 | 비뇨의학과 |
자가진단 신체부위 | 생식기관 |
원 인 | |
특 징 | 태아시기에는 복강 내에 있던 고환이 점차 하강하여 음낭으로 이동하여 출생 후에는 음낭 내에 위치하게 됩니다. 그러나 하강하는 과정 중 어떤 원인에 의하여 음낭까지 하강되지 않은 상태를 정류고환 또는 잠복고환이라고 합니다. 탈장이 25%에서 동반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일측성 환자의 20%는 불임이 예상되고, 양측성은 대부분 불임으로 예상됩니다. 고환종양이 정상인보다 30-50배의 높은 확률로 발생하여 사춘기 이후 복강 내 고환은 제거 고려하고 고환고정수술을 받은 환아도 정기적인 검사가 필요합니다. |
진 단 | 우선 신체검진으로 촉진하여 고환의 위치를 확인합니다. 그러나 고환이 만져지지 않는 경우 초음파를 통해 고환이 있는지를 확인합니다. 만약 초음파로도 확인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복강경을 통해 복강 내에 고환의 유무를 확인하기도 합니다. |
치 료 | 보통 1세까지는 고환의 하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다려 보거나 양측성인 경우 호르몬 치료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최근에는 1세 전에 조기 수술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환의 하강이 없거나 나이가 1세 이상인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 (고환고정술)가 필요합니다. |
예 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