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질병에 관련된 정보들을 보실 수 있는 질환정보사전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은 환우와 가족분들께 도움이 되도록
많은 정보를 제공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질환명 | 헤르페스성 각막염 |
---|---|
진료과 | 안과 |
자가진단 신체부위 | 머리 |
원 인 | |
특 징 | 대개는 한쪽 눈에만 나타나며, 4-6%정도에서 양안에 발병합니다. 첫 증상은 흔히 눈의 자극감, 눈부심 및 눈 물흘림등이며, 병변이 각막중심에 있을 때에는 시력장애도 동반됩니다. 발병초기부터 각막의 지각이 저하되 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통증을 잘못 느껴 증상이 경미한 것처럼 오인하게 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각막궤양의 모양은 나뭇가지모양의 궤양입니다. 이것은 초기에는 점모양으로 퍼져 나타나다가 병의 진행과 더불어 선모 양으로 모여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 궤양은 확대되어 지도모양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동반된 상피하 혼탁 은 1년정도후 소실됩니다. 심한 경우 원판형 각막염도 발생합니다. 각막궤양이 심할 경우는 홍채모양체염과 더불어 각막의 천공까지 이르는 수도 있습니다. 이 천공이 일어나면 완전히 실명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예견되 는 상황에서는 이식수술등 즉각적인 치료를 요합니다. |
진 단 | |
치 료 | 치료의 목적은 바이러스를 각막에서 제거하는 데 있습니다. 각막을 마취후 물리적으로 병변이 있는 각막을 긁 어 제거후 재생을 도와주어야 합니다. 약물로는 IDU, TFT, Acyclovir등의 항바이러스제를 사용합니다. 이 약 들은 안약, 연고, 복약등으로 조제되어 적절히 증상에 따라 사용합니다. 부신피질호르몬제의 사용은 금기사항 이나, 원판형각막염등 제한된 상황에서는 주의깊게 항바이러스제제와 병행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예 후 | 단순헤르페스성 각막염은 1/3가량이 2년이내에 재발합니다.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감기로 인한 발열이 나 몸의 피로가 없도록 항상 주의해야 하며 태양광선, 그 밖의 정신적인 충격, 스트레스도 가급적 피하는 것 이 좋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