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질병에 관련된 정보들을 보실 수 있는 질환정보사전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은 환우와 가족분들께 도움이 되도록
많은 정보를 제공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질환명 | 유세포분석기 |
---|---|
진료과 | 병리과 |
자가진단 신체부위 | 기타 |
원 인 | |
특 징 | 영어로는 flow cytometry, 혹은 fluorescent-activated ell sorter (FACS) 이다. 본원에 비치되어 있는 장비는 후자로 보통의 유세포분석기에 비해 cell sorter의 기능 이 더 있다. 세포 하나하나의 물리적, 면역학적, 생화학적, 생리학적 성질을 분석할 수 있다. Laser로 세포를 자극하였을 때 특정 형광색소로 염색된 세포는 일정 파장의 영역에서 빛을 내고, 또한 일정파장영역에서는 그 빛을 방출 함을 이용하여 세포의 성질을 파악하는 장비이다. 이 장비로는 우리 몸에 순환하고 있는 림프구의 수와 분포를 알 수 있으므로 면역기능중 세포성 면역능 측정과 암세포의 발견 (예를 들면 백혈병의 감별진단), 치료후 남아 있는 암세포의 검출, 핵형분석등이 가능하다. 즉 혈액에 순환중 인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다양한 세포 집단에서 분석하고자 하는 세포만을 따로 모아서 검사할 수가 있고, 특정세포군의 분포와 양적 계산을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골수이식의 일부로 최근 많이 시행되고 있는 자가말초조혈모세포 이식술시 채집한 단핵구 군에서 조혈모세포의 수를 측정 할 수 있다. 에이즈 환자가 많은 나라인 경우 주로 에이즈를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T 림프구 중 조력 림프구(T-helper lymphocyte)에 감염되므로 이들 환자의 T 림프구 분포검사에 가장 흔히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에이즈 환자가 많지 않으므로, 임상적으로는 위에서 열거한 경우에 많이 쓰이고, 주로 세포생물학자들의 기초의학 연구에 더 많이 이용되고 있다. |
진 단 | |
치 료 | |
예 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