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종 질병에 관련된 정보들을 보실 수 있는 질환정보사전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은 환우와 가족분들께 도움이 되도록
많은 정보를 제공 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질환명 | 수근관 증후군 |
---|---|
진료과 | 정형외과 |
자가진단 신체부위 | 팔/다리/어깨 |
원 인 | 수근관이란 손목을 구성한는 뼈와 인대(횡수근인대)에 의해서 형성된 터널을 말하며 이공간으로 정중신경과 손가락을 굴곡시키는 건(힘줄)들이 지나간다. 이터널은 제한된공간으로 이공간의 넓이를 감소시키는 어떤원인도 신경을 압박하게된다. 주로 많은 원인으로는 손목부위의 골절, 감염, 종양과 비만, 당뇨병, 갑상선기능이상이 있는사람에게 자주 나타나며, 뚜렷한원인을 발견하지 못하는경우도 많다. |
특 징 | 수근관 증후군이란? 손의 감각과 손가락의 운동을 담당하는 신경들중에서 정중신경이 손목부위를 지날때 수근관이라는 터널을 통과하는데 이곳에서 압박을 받아서 신경마비와 통증, 감각이상등을 나타내는 병을 말한다.30-60세사이에 흔하며 여자에게서 남자보다 5배이상 자주 발병한다. [ 증상 ] 정중신경이 담당하는 감각부위(엄지, 검지, 중지)의 감각이상, 저림, 통증 등이 나타나며 병이 진행되면 손가락의 운동장애와 엄지손가락쪽의 손바닥근육이 위축되어 손의 살이 빠진 듯이 보인다. 야간에 잠을 자다가 손이 아파서 일어나며 손목을 움직이면 증상이 소실될 경우 이병을 강력히 의심할수 있다. |
진 단 | 상기증상들이 진단의 기본이 된다. 몇가지 통증을 유발시키는 검사가 진단에 도움이 된다. 손목을 구부려서 통증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검사(1분 이내에 통증이 생기면 의미있는 것으로 판단)와 수근관 부위를 압박해서 통증이 나타나는지를 확인하는 검사등이 있다. 신경전도 검사는 경제적 부담이 적으면서도 수근관증후군진단과 다른 병의 감별진단에 유용한 검사이다. 그외 비특이적인증상이나 종양등의 특수한원인이 의심될 경우 자기공명영상진단을 이용하기도 한다. |
치 료 | 증상이 가벼운 경우 비수술적치료가 효과적일수 있다. 소염제의 복용. 부목고정, 부신피질호르몬제의 국소투여등이 도움이 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근육의 위축이 와있는 경우에는 처음 진단된 경우라도 수술적치료가 우선시 된다. 실제로 많은경우에서 결국 수술적치료가 필요하다. 수술은 수근관을 덮어싸고 있는 횡수근인대를 절개하는 방법이다. 수술방법은 횡수근인대부위를 완전 절개하는 개방성수술법과 횡수근인대 아래위에 1cm정도의 절개를 넣어서 인대를 절개하는 소절개 수술법, 내시경을 이용한수술법등이 있으며 모두 양호한 결과를 얻울수 있다. |
예 후 |